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울대학교 버스 노선 비교 신림, 낙성대에서 서울대까지

by 55zoozoo 2025. 10. 15.

버스 노선

서울대학교는 관악산 자락에 위치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편은 아닙니다. 특히 신림역과 낙성대역은 모두 서울대와 가까운 지하철역이지만, 실제로는 캠퍼스 중심부까지 거리가 멀기 때문에 버스 이용이 필수적입니다. 본문에서는 대학원생의 입장에서 신림역·낙성대역에서 서울대까지 운행하는 주요 버스 노선을 비교하고, 어떤 노선이 더 효율적인지 실제 통학 기준으로 안내합니다.

신림역 출발 버스 노선 정리 및 장단점

신림역은 서울대와 가장 가까운 환승 중심지 중 하나로, 2호선과 신림선이 모두 지나는 교통 요충지입니다. 서울대 캠퍼스로 가는 버스는 여러 노선이 있으며, 특히 5516번, 5515번, 관악02번이 대표적입니다.

  • 5516번: 신림역 → 서울대 정문 → 행정관 앞 → 기숙사 방향. 배차 간격 약 7~10분으로 비교적 촘촘하며, 막차는 약 23시 30분입니다.
  • 5515번: 신림역 → 서울대 후문 → 생활과학대 → 기숙사 방향. 생활과학대나 사범대, 관악사 기숙사로 향하는 대학원생에게 적합합니다.
  • 관악02번 마을버스: 신림역 6번 출구 → 서울대 정문 → 행정관 앞까지. 요금이 저렴하지만 배차 간격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신림역 노선의 공통 장점은 환승이 편리하고, 주변 상권이 발달해 야간 귀가 시 안전하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퇴근 시간대 정체와 배차 불균형이 단점으로 지적됩니다.

낙성대역 출발 버스 노선과 통학 효율

낙성대역은 서울대 후문과 비교적 가깝지만, 언덕길이 많아 도보로 이동하기에는 부담이 큽니다. 이 때문에 5513번, 5511번, 관악05번 버스가 주요 선택지로 꼽힙니다.

  • 5513번: 낙성대역 → 서울대 정문 → 공대·사회대·관악사 방향. 약 1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막차는 23시 40분경입니다.
  • 5511번: 낙성대역 → 서울대입구 → 기숙사 → 대학본부 순환. 서울대 내부를 순환하는 대표 노선입니다.
  • 관악05번 마을버스: 낙성대역 출발 후 서울대 후문과 정문을 연결합니다. 요금이 저렴하지만 출퇴근 시간에는 혼잡도가 높습니다.

낙성대 노선의 장점은 정체 구간이 적고, 서울대 내부 접근이 빠르다는 점입니다.

신림 vs 낙성대 통학 비교 및 추천 루트

항목 신림역 출발 낙성대역 출발
주요 노선 5515, 5516, 관악02 5511, 5513, 관악05
평균 이동시간 약 20~25분 약 15~20분
막차시간 약 23시 30분 약 23시 40분
주요 진입구 정문·후문 다양 주로 정문 중심
교통 혼잡도 높음 (출퇴근시 정체) 낮음 (원활한 흐름)
추천 대상 신림 인근 거주자, 정문 근무자 공대·사회대 대학원생, 기숙사 거주자

결론적으로, 통학 효율성만 고려하면 낙성대역 출발 노선이 더 유리합니다. 특히 서울대 기숙사나 공대 쪽 연구실을 이용하는 대학원생이라면 5513번 또는 5511번 노선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실용적입니다. 반면 신림역은 생활 편의시설이 많고 버스 노선이 다양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신림과 낙성대는 모두 서울대 통학의 핵심 거점이지만, 대학원생 입장에서는 낙성대 노선이 더 빠르고 정체가 적은 효율적인 선택지로 평가됩니다. 특히 5513번, 5511번은 실험·연구실 이동이 잦은 대학원생에게 필수 노선이며, 신림 노선은 편의시설 접근성과 환승 편의성에서 강점을 가집니다. 통학 시간을 단축하려면 본인 연구실 위치와 수업시간, 귀가 패턴을 고려하여 두 노선을 병행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