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는 넓은 관악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어 차량 이용이 잦지만, 주차관리 시스템이 정교하게 운영되기 때문에 등록 절차를 정확히 이해하고 이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재학생, 교직원, 방문객 등 이용자 유형에 따라 주차 등록 절차와 정기권 신청 방법이 다르므로 미리 확인해야 불편을 줄일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서울대학교 주차 등록 절차, 정기권 신청 방법, 요금 체계, 그리고 실제 이용 시 알아두면 좋은 팁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서울대 주차 등록 절차와 대상 구분
서울대학교 주차는 이용자 유형(교직원, 재학생, 외부인)에 따라 등록 방식이 다르게 운영됩니다. 먼저, 교직원은 학교 내부 행정정보시스템을 통해 차량번호를 등록하고, 자동으로 출입 인식이 가능한 정기 등록 시스템을 이용합니다. 반면, 대학원생과 연구원은 지도교수 승인 하에 기간 한정 등록(3개월 단위)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일반 방문객은 사전 등록 없이도 입차가 가능하지만, 주차요금이 일반 요금으로 적용되며 서울대 방문 예약 시스템(visit.snu.ac.kr)을 통해 등록하면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입차 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LPR, License Plate Recognition)이 자동으로 차량을 인식해, 등록 차량은 별도의 출입증 없이 입차할 수 있습니다.
등록 절차:
1. 서울대 포털(https://my.snu.ac.kr) 접속
2. “교통·주차 관리” 메뉴 클릭
3. 차량정보 입력
4. 주차구역 선택 및 이용기간 지정
5. 담당 부서 승인 후 등록 완료
정기권 신청 및 요금 안내
서울대의 주차 정기권은 교직원 및 대학원생 중심으로 운영되며, 정기권 등록 시 월 단위 이용이 가능합니다.
구분 | 대상 | 월 정기권 요금 | 비고 |
---|---|---|---|
교직원 | 서울대 소속 교수 및 직원 | 25,000원 | 급여공제 가능 |
대학원생 | 지도교수 승인자 | 20,000원 | 연구실별 신청 가능 |
학부생 | 주차 승인 필요 | 30,000원 | 제한적 허용 |
외부업체 | 학교 내 입점 업체 | 40,000원 | 계약기간 연동 |
방문객 | 미등록 차량 | 시간당 1,000원 (일 10,000원 한도) | 카드 정산 |
정기권은 서울대 교통행정팀(행정관 2층) 또는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3개월 또는 6개월 단위로 결제 가능합니다. 결제는 카드, 계좌이체, 급여공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등록 차량 변경 시 차량번호 수정 신청을 별도로 진행해야 합니다.
서울대 주차 이용 시 유의사항과 팁
서울대학교는 캠퍼스 특성상 출퇴근 시간대 교통 혼잡이 심하므로, 이용 시간과 구역 선택이 매우 중요합니다.
1. 혼잡 시간 피하기 – 오전 8시 30분~10시, 오후 5시~6시 피하기
2. 단속 구역 확인하기 – 중앙도서관 앞, 행정관 주변은 상시 단속구역
3. 정기권 갱신 시기 확인 – 만료 3일 전부터 갱신 가능
4. 전기차 충전소 이용 – 38동, 신양문 주차장, 두레문예관 주차장 이용 가능
5. 방문객 단기 등록 – 방문자 등록 시스템으로 1일 주차권 신청 가능
서울대학교 주차 등록 및 정기권 신청은 간단해 보이지만, 이용자 유형에 따라 신청 방법과 승인 절차가 다르기 때문에 사전에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기권을 등록하면 시간 절약은 물론, 할인 혜택과 안정적인 주차공간 확보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서울대 교내 또는 연구공원, 도서관 등을 자주 방문한다면 정기권 등록을 적극 추천합니다. 공식 홈페이지나 교통행정팀 공지사항을 수시로 확인하면 최신 정보와 요금 변동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